[ 백준 1052 : 물병 ]
N개의 물병으로 K의 물병을 만드는 문제.
조건은 물을 합칠때는 같은 양의 물이 들어있어야한다.
처음있는 N의 물병으로 만들 수 있는 물병 갯수를 생각해본다.
예로 들어서 18개의 물병이 있다고 해보자.
N = 18 일 때 물병의 경우의 수를 보면,
이렇게 볼 수 있다.
그럼 총 18개부터 2개까지 물병을 사지 않고 가능하다는 말이다.
무조건 같은 양의 물병만 합칠 수 있으므로 1 -> 2 -> 4 -> 8 .... 모두 2의 제곱수이다.
그럼 N을 2의 제곱수로 나타내어보면
18 = 16 + 2 이다.
그럼 이진수로 생각할 수도 있다. 이진수로 18을 나타내어보면
10010(2) 이런식으로 표현 할 수있다.
이말은 이진수로 나타내었을때 1의 갯수가 물병의 갯수이고 이 1의 갯수가 K보다 작다면 어떻게든 N을 K로 물병을 더 사지 않고 만들 수 있다는 말이다.
N이 1000만 이하의 자연수 이므로 N을 1씩 더해주면서 이진수로 나타내었을때 1의 갯수가 몇 개인지 보면서 K개 이하로 나온다면 몇 번이나 더했는지를 출력해주면 된다.
여담이지만 한 번 틀렸는데
내가 이상한건가 입력이 18 23 이런식으로 나온다면 답이 5가 나와야되지 않나? 입력에서 K가 N보다 작다는 말이 없어서 N<K일때는 K-N이 답으로 나오게 하고 제출했더니 틀렸다...;; 알고보니 한 번에 K개 이하의 물병을 들 수 있으니 N이 K보다 작을땐 그냥 그대로 가져가면 되는거였다. 혹시나 나와 같은 이런 생각을 하신분들이 있을까봐.. ㅎ.
이 블로그 검색
피드 구독하기:
댓글 (Atom)
-
[ 백준 1024 : 수열의 합 ] 간만에 푼 백준~ 쉬운 문제라고 생각하고 풀었는데 계속 틀려서 봤더니 예외 처리를 한 개 안해준것이 있었다. 만약 이 글을 보기전에 풀었을때 채점이 60%에서 자꾸 틀린다면 90%확률로 나와 같은 실수를 ...
-
[백준 1091 : 카드 섞기 ] 이 문제도 5달 전에 풀었다가 포기했었던 문제였나보다. 오늘 틀렸던 문제 다시풀기 중 풀게 되었다. 문제를 읽는데 헷갈려서 머리카락 한 10번은 쥐어짠듯. 아마 전에 풀었을때는 P배열이 각 카드가 최후에 ...
-
아마 나와 비슷한 나이대의 학생들은 대부분 대학에서 수업을 들으면서 꾸준하게 들었을 것 같다. 물론 내가 그래서 그렇다. 4차산업~ IT의 시대~ 빅데이터~ 데이터 마이닝~ 하지만 컴퓨터 관련 전공자가 아니고 더군다나 공학 계열 전공자가 아니라...
[백준 16236] 아기 상어
[ 백준 16236 : 아기 상어 ] 2018 삼성전자 sw직무 하반기 기출문제입니다. 역대 삼성전자 기출문제가 그렇듯 역시나 BFS,DFS,완탐,DP,단순구현 입니다. 저는 문제를 단순히 BFS로 풀어갔습니다. 조건만 잘 지킨다면 한번에 ..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